sosuh logo

관조하는 삶

관조하는 삶

관조라는 단어와 나

관조의 국어 사전을 찾아보니,
“고요한 마음으로 사물이나 현상을 관찰하거나 비추어 봄.”
누군가 내 글을 읽고 “이렇게 관조적인 태도의 글이라 내가 궁금했다”고 말해 준 적이 있다. 오랜만에 만난 시인 S도 내게 무언가 변했다며 “관조가 생겼구나!” 하고 말했었다. 하지만 정작 나는, 나의 무엇에서 그런 기운이 읽히는지 아직 잘 모르겠다.

『관조하는 삶』 그리고 『피로사회』

이 대목을 읽으며 자연스레 『피로사회』가 떠올랐다.
책을 다시 펼치니 첫 문장, ‘시대마다 그 시대에 고유한 주요 질병이 있다’에 밑줄이 그어있다. 이 얇고 작은 책은 읽으며 격하게 공감하고 내 안으로만 향해있던 시선을 “자기 자신을 착취하는 과다한 노동과 성과사회”라는 시대적 자아상으로 볼 수 있게 해준 강력한 책이었다. 이 책을 읽었다고 하는 이와 만나면 마음의 유대감이 빠르게 커지곤해서, 종종 지인들에게 추천하는 책이기에 이번에 나온 책도 망설임없이 읽기 시작했다.

관조하는 삶

행위와 관조 사이에서

책은 내내 우리가 이 바쁘고 빠른 속도의 현재를 살아가면서 놓치고 있는 무위의 힘에 대해 말한다.
책 곳곳에 밑줄과 모서리를 접는다.

관조하는 삶

바라보기 위해 태어났다

던져진 존재로 살아가는 인간으로, 왜 태어났냐는 질문에 이토록 아름다운 답을 읽어본 적이 없다.

“바라보기”위해 태어났다는 문장이 너무 좋아서 문장을 눈으로 몇번이나 쓰다듬는다. 어떻게 살면 저런 언어를 말할 수 있는 걸까?
언젠가 다음에 시간이 아주 많은 날, 사랑하는 이를 앞에 두고 오래도록 바라보고 싶다는 소망이 생겼다. 눈으로 그림을 그리듯 천천히 선 하나하나를 바라보고 싶다고.

한나 아렌트의 책 <행위하는 삶> 속의 ‘행위’에 대해 조목조목 따지듯 짚어보는 후반부 글은 아렌트의 글을 읽지 않아서인지 좀 어려웠다. 그러나 아렌트가 놓친 관조의 힘에 대해 ‘행위하는 삶’과 ‘관조하는 삶’ 사이를 오가며 살아야 한다는 마무리. 정-반-합으로 귀결되는 결론이, 역시 철학가답다.

내가 꿈꾸는, 관조하는 삶

얼마 전 B와 통화하며, “저 좀 더 조용히 살고 싶어요.”라고 말했더니, 그는 지금도 충분히 조용히 살고 있다며 웃었다. 출퇴근 길도, 학원에서의 수업도 시끄러울게 없다고. 그의 말을 듣고 나니, 정작 내가 ‘조용한 삶’이 무엇인지 깊게 짚어보지 않은 채 튀어나온 말이었음을 깨달아 괜히 입을 오리처럼 쭉 내밀고 말았다.

그날 이후 생각이 남아, 비가 올 듯 흐린 날 물의 정원을 찾았다. 천천히, 사람 붐비지 않는 길을 걸으며 스스로에게 물었다.
“‘조용히 산다’는 건 어떤 하루일까? 이런 자연을 눈만 뜨면 볼 수 있는 환경일까? 내가 바라는 ‘조용한 삶’의 환상은 무엇일까?”
내 안에서 질문의 답을 찾으며 문장으로 완성되려면 더 많은 무위의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행위와 관조를 뫼비우스의 띠처럼 돌고 돌면서, 조금이라도 더 나은 인간이 되어갈 수 있다면 좋겠다.

관조하는 삶

책은 올초에 샀는데 완독까지 꽤 시간이 걸렸다. 읽다가 다른 책으로 넘어가 한참 손에서 놓았다가 이제야 마지막 페이지를 덮었는데, 과연 내가 이 책의 내용을 얼마나 제대로 이해했는지 스스로 반문이 생겨 다시 읽어야 할 책칸에 꽂아두고 다시 읽어보자 다짐한다.


관조하는 삶

지은이 한병철
옮긴이 전대호
펴낸곳 김영사
초판 1쇄 2024년 10월 18일

첫페이지로 이동
인스타로 이동

sosuh profile

디자인, 일러스트, 그림책 등 다양한 미술 분야에서 활동하고 강의해왔습니다.
현재는 분당에서 ‘그림산책’이라는 미술 교습소를 운영하며,
그림을 그리고 책을 만드는 다양한 수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고양이 두 마리와 함께 읽고, 쓰고, 그리는 일상을 차곡차곡 기록합니다.

Related Posts

나, ‘무에타이 킥복싱’하는 여자야~_4

나, ‘무에타이 킥복싱’하는 여자야~_4

무에타이 킥복싱으로 단련되는 나의 하루 운동을 시작하고 싶다고 마음먹은 건 단순히 체력을 기르기 위해서였다. 하지만 복싱관 문을 열고 들어선 그날 이후, 나는 몸뿐만 아니라 마음까지 단련되는 경험을 하고 있다....

새벽 3시 9분, 의식의 흐름

새벽 3시 9분, 의식의 흐름

새벽 3시 9분 이리저리 뒤척이다가 결국 이불을 박차고 일어나 물을 마신다. 두 번째로 물컵을 채워 마시며 고민한다.다시 이불 속으로 들어가면 잠이 들까? 투두둑, 빗소리.어제 저녁부터 내리기 시작한 비가...

별명 속에 담긴 내 얼굴

별명 속에 담긴 내 얼굴

내 안에 수 많은 나 한 사람안에는 얼마나 많은 모습이 있는 걸까. 나는 나를 얼마나 알고 있는 걸까. 나는 종종 이런 것들이 궁금하다. 그래서 내 안의 감정들이나 생각나지 않는 유년시절 떠오르는 몇 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