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월부터 시작된 동영상 제작에 들어가는 일러스트 작업이 막바지를 향해간다.
이 프로젝트는 내가 일러스트 작업을 하면 영상 제작하는 회사에서 움직이는 효과를 주어 2D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하는 것으로, 동영상으로 제작하는 것을 위해 한 컷의 일러스트 작업을 각각의 레이어를 구분해야 하는 작업이 필요해서 생각보다 작업시간이 예상보다 훌쩍 길어졌다.
철원군청의 문화의 거리에서 상영될 애니메이션 작업인데, 철원역의 오래전 사진들을 기반으로 작업하는 것이라 작업의 디테일도 높아야했지만 인물이 많이 들어가는 컷들이 많고 무엇보다 영상제작을 위해 레이어를 분리해서 각 요소마다 계층이 달라지게 그려야 하는 것과 일러스트 톤앤 매너를 잡는데 꽤 오래 걸렸다.

처음에는 한 달 반 정도 예상했던 작업이 중간에 콘티가 바뀌기도 하고 담당자가 바뀌며 일정이 늘어났는데, 동영상 제작을 위한 일러스트 작업이 일반적인 한 장의 작업보다 2배 이상은 손이 많이 가지만 작업이 후반으로 가면서 나름의 요령이 생기기도 하는 듯하다. 작년에 열심히 익힌 아이패드 프로크리에이터에서 기본 작업을 하고 포토샵으로 가지고 와서 레이어를 정리하고 후보정해서 한컷씩 마감하는데, 아이패드 화면에서 보았을때와 포토샵에서 열었을때 작업이 달라지는 부분이 있어서 처음에는 엄청 당황스러웠다.

작업 시간이 늘어나는 만큼 요령의 테크닉도 늘어서 프로크리에이터와 포토샵이나 일러스트레이터의 프로그램을 교차하며 각각의 장점을 섞어 작업하고 있는 요즘, 내 작업도 변하고 있는 것 같다. 단순히 그림을 그리는 도구가 바뀌기 때문이 아니다. 매너리즘에 빠지더라도 작업을 반복하게 되는 시기가 있고 어떤 시간을 거치면 변하게 되는 지점이 분명 있다. 중요한 것은 ‘어떻게’ 그리냐보다 ‘왜’ 그리는 것인지 내 목소리를 찾는 것이다. 바뀌고 있는 이 변화의 구간을 지나는 동안 어떻게 바뀌고 싶은지 태도와 방향에 관해 고민은 그리고 싶은 대상의 선택으로 귀결될지도 모르겠다.

얼마전까지 내 작업은 그림으로만 남기는 것이라 생각했는데 작년의 몇몇 사건(?)을 거치며 하루하루 쌓는 ‘오늘’의 흔적이 다 내 작업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는게 가장 크게 달라진 변화이기도 하다. 작업은 때론 그림을 그리는 것이고, 때론 책을 읽거나 글을 쓰는 것이 될 수도 있고, 때론 배움과 도전을 빙자한 딴짓이 되기도 할테지만, 태도가 고도가 되어 앞으로 나아가게 할 거라 믿는다.

일단, ‘오늘’의 작업부터 잘 마감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