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 맥이 없어요.”
“네?”
어이가 없었다. 이게 뭔 말인가 싶어 웃음이 튀어나왔다. 내 손목에 맥을 짚고 있는 한의사 선생님의 첫 말씀이었다. 왼쪽 손목과 오른쪽 손목을 다 짚어보시면서도 안잡힌다고 하셨다. 맥 짚어보고 살아있는게 신기하다는 말 들으면 전화하라는 B의 말이 자동으로 머리속에서 플레이되어 당황스러웠다.
“맥이 정말 잡히지 않을 정도에요. 기진맥진이라는 말 있죠. 그 말 그대로 기가 다하고 맥이 다한 상태라는 거죠.”
8월이 넘어가면서 몸 상태가 급격히 안좋아져 먹는 것도 일하는 것도 조심한다고 하면서 나를 챙겼는데도 저녁이면 눈을 뜨고 있을 수가 없게 힘들었다. 저녁 뿐 만이 아니고 오전에도 낮에도 졸음이 쏟아졌다. 그야말로 병든 닭 꼴이었다. 예전에는 30분이면 쉬고 일어나 일을 하는 나였는데, 지금은 누웠다 일어나면 4시간이 지나있었다. 아예 일어나지 못하는 날도 많았다. 잠깐만 누워있겠다고 누웠다가 다음날 아침이 되어 힘들게 출근하는 일상이 너무 장기간 지속되니 이대로는 안되었다. 나는 하고 싶은 일이 많다. 아프면 좋아하는 그림도 못 그리니 체력관리를 해야한다는 잔소리를 학생들에게 하면서 누워있는 시간이 길어지는 내가 싫었다. 하고 싶은데 못하고 있는 일들이 있다는게 속상했다. 이런 나를 B는 어쩜 저렇게 호기심도 많고 하고 싶은 것도 많냐며 시대를 잘 못 타고 태어났다는 농담같은 비웃음으로 걱정과 잔소리를 했다. 한약이라도 지어먹어야겠다고 하자 바로 약 잘 지어준다는 한의원을 알려주셨다. 설마 그런 말을 듣겠냐고 웃었는데, 말 그대로 지금 내 상태는 면연력과 체력과 기와 맥이 전부 없는 상태라고 하셨다. 자동차로 치면 오링 상태. 건강과 생활습관에 관련된 여러 질문과 답이 오고가고 원기 회복에 좋은 약재로 신경써서 지어주시겠다고 하셨다. 지금은 너무 바닥 상태이니 운동도 안 좋다면서 기름이 좀 채워진 후에 다시 천천히 달려야 한다고.
상담 후에 약 받을 주소를 확인하고 결제하려하니 이미 결제는 되었단다. 하이코야… B의 배려와 섬세함에 두 손을 든다. 난감해하는 내 표정을 보고 한의사 선생님이 “약 받으시면 잘 드시는게 갚으시는 거에요.”하신다.
B는 늘 이런식이다. 당신은 내게 맘껏 퍼주고 그리고나서 잔소리와 구박을 미안한 내가 입도 뻥긋 못할 정도로 한다. 제발 좀 쉴땐 그냥 쉬라고 명절을 앞두고서 덧붙이는 잔소리에 오리입이 되어도 할 말이 없다. 궁시렁거리는 내 말 소리가 작아진다. 요즘 내가 느끼는 내 상태가 심각하긴 했지만, 이정도일 줄은 몰랐다. 이런 나를 나보다 잘 아는 듯 말하는 B에게 당신이 모르는 나도 많다며 반항을 하기도 했지만, 역시 백기를 들 수 밖에 없다.
이 숲같은 사람은 종종 나를 많이 오해한다. 내가 학생들과의 관계에서 너무 쉽게 상처 받는다고, 학교 업무에 필요 이상으로 정성을 쏟는다고, 1만 해도 되는 일을 3이상을 하는 사람이라고, 쉬고 노는 것을 못한다고, 쓸데없이 너무 많이 생각한다고, 너무 많은 것을 완벽하게 하려 한다고, 그림을 그리는 내가 즐겁기보다 괴로워보인다고. 물론 맞기도 하고 아니기도 하다. 나는 자주 특이하거나 괴팍하거나 까칠한 사람이 되므로 생각보다 쉽게 상처 받지 않고, 기대가 없는 일에 필요 이상으로 맘에 품고 애쓰지 않는다. 생각보다 냉정하고 끊어낼때는 단박에 선을 긋는다. 어이가 없을때도, 애매하게 넘어갈 때도 나도 모르게 튀어나오는 웃음에 내 마음을 그 뒤로 숨기는 것도 잘 한다. 책을 읽고 그림을 그리는 것은 살아가는 일과 같아서 너무 바빠서 혹은 몸이 아파서 읽지도 그리지도 못하고 있으면 살아도 사는 것 같지가 않다. 그러니 그림이 잘 안그려진다면서도 꾸역꾸역 종이 앞에 앉는 것이다. 이러고 있는 것이 사는 것이라서. 그러나 내가 보이지 않는 많은 면을 저 숲같은 사람은 알아챈다. 귀신같다. 자꾸 나를 분석하고 경우의 수를 파악하며 때론 오버되게 잔소리를 하면서 또 곧잘 미안하다고 한다. 웃음을 빵터지게하는 갈등을 풀어내는 위트,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관계를 만들어가는 자신감 넘치는 B가 참 좋다. 이 귀신 같은 사람에게 받는 게 많아서 이를 간다. 갚을 때까지 아프시면 안된다고.
말하는게 싫어서, 말로 나오는 말들이 오해를 불러일으켜서 나는 말이 싫다. 사람은 편집에 능한 동물이다. 자기 방어를 위해 기억을 재구성하고 말을 푼다. 나 또한 내 시간들의 상처를 너덜너덜하게 나 편한대로 꿰매는 사람이다. 그러므로 오해를 풀 이유가 없는 사람에게는 오해를 하든말든 상관없으므로 신경을 안쓰고, 가까운 이들에게는 힘들다 얘기하는게 징징거리는 것 같아서 말을 삼킨다. 말을 안하고 살 수 있다면 눈빛과 표정만으로도 소통할 수 있다면 그렇게 살고 싶다. 그리고 같은 이유로 내가 말 하지 않아도 날 읽는 사람 앞에선 어쩔줄 모르겠다. 때론 오해와 이해의 교차로에서 교통체증에 빠지기도 하지만 멀어졌다 가까워졌다를 반복하며 웃는 나를 보며 우는 나를 알고 있는 벗들이다. 내가 가진 관계의 바운더리가 예민해서 그리고 기본적으로 인간을 쉽게 신뢰하지 않아서 관계의 친밀도에 따라 더 깊게 교류하는 관계를 무척 힘들어 한다. 이렇게 마음을 받을 때면 어찌해야 할 줄을 몰라서 쩔쩔매는 것이다. 이런 챙김을 받을 때면 이 빚을 어떻게 갚나 싶고 어떻게 나를 알아채나 미안하고 이 마음이 고맙고 내가 가지는 질문은 늘어나고 괜한 걱정을 끼치기 싫어 더욱 바짝 기대지 않으려 몸을 세운다. 나는 타인에게 쉽게 내 속내를 털어 놓거나 의지하거나 필요하다는 사실을 인정하거나 쉽게 애착을 형성하는 타입이 아니다. 그래서 이런 신뢰는 정말 귀하다. 내가 쉽게 울보가 되는 이유다.
저 숲같은 사람에게 나는 무엇일까 생각했다가 나에게 이 사람은 무어라 부를 수 있을까하고 생각이 옮겨갔다. 마음을 기댈 줄 몰라서 기울어지는 줄도 몰랐다. 우리는 방어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연결하기 위해서 관계를 맺는다는 글이 떠올랐다. 이 귀한 관계를 쌓아가는 이 숲같은 사람에게 조금 더 기대어도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오늘의 이 배려는 어떻게 복수할 수 있나….
한의원을 나와 커피를 한 잔하고 나오니 밖이 선선하다. 올해는 달을 보며 소원을 빌고 싶은게 생겼다. 하늘을 올려다 봤다. 추석을 며칠 앞둔 달은 밝고 둥글어지는데 열심이다. 보름달을 향해가는 달을 바라보며 이름 붙일 수 있는 관계에 대해 생각한다. 선선해진 밤길을 오래도록 천천히 걸었다.